을 포함하는 두 글자의 단어: 176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176개 세 글자:507개 네 글자:575개 다섯 글자:341개 여섯 글자 이상:935개 모든 글자:2,535개

  • : (1)‘팔짱’의 북한어.
  • : (1)그 수량이 일곱이나 여덟임을 나타내는 말.
  • : (1)손목까지 내려오는 소매. 또는 그런 옷.
  • : (1)색계(色界)의 사선정(四禪定)과 무색계(無色界)의 사공정(四空定).
  • : (1)편지를 주고받으며 사귀는 벗.
  • : (1)살풀이춤에서, 두 팔을 부드럽게 머리 위로 올리는 춤사위. (2)말 나이의 여덟
  • : (1)팔의 힘.
  • : (1)한쪽만의 팔.
  • : (1)인도 중부에 있는 상업 도시. 철도의 요지이며, 면 공업ㆍ보석류 가공이 발달하였다. 마디아프라데시주의 주도(州都)이다.
  • : (1)임자(壬子)에서 계해(癸亥)까지의 12일 중에서 축(丑), 진(辰), 오(午), 술(戌)의 나흘을 뺀 여드레 동안을 이르는 말. 임(壬), 계(癸)는 다 물의 뜻으로, 이 동안에 비가 많이 온다고 하며 한 해 동안에 여섯 차례가 있다.
  • : (1)고대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고신씨(高辛氏)의 여덟 재자(才子). 백분(伯奮), 중감(仲堪), 숙헌(叔獻), 계중(季仲), 백호(伯虎), 중웅(仲熊), 숙표(叔豹), 계리(季狸)를 이른다.
  • : (1)팔꿈치 위나 팔꿈치까지 내려오는 짧은 소매. 또는 그런 옷.
  • : (1)‘팔짱’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똥’으로도 적는다.
  • : (1)독일 서남부에 있던 옛 지방. 상하 지역으로 갈라져 있었으나, 30년 전쟁으로 상팔츠를 잃었다. 1946년에 라인란트팔츠주에 합쳐졌으며, 팔츠 전쟁지로도 유명하다.
  • : (1)부처가 지닌 여덟 가지 특색 있는 음성. 극호음, 유연음, 화적음, 존혜음, 불녀음, 불오음, 심원음, 불갈음을 이른다. (2)악기를 만드는 재료에 따라 나눈, 아악(雅樂)에 쓰는 여덟 가지 악기. 또는 그 각각의 소리. 여덟 악기는 재료에 따라서 금부(金部), 석부(石部), 사부(絲部), 죽부(竹部), 포부(匏部), 토부(土部), 혁부(革部), 목부(木部) 따위로 나뉜다.
  • : (1)중국인들이 자기 나라의 남방에 있는 여덟 이민족을 미개한 야만인으로 여겨 낮잡는 뜻으로 이르던 말. 구지(狗軹), 담이(儋耳), 방척(旁脊), 천축(天竺), 천흉(穿胸), 초요(僬僥), 파종(跛踵), 해수(咳首)를 이른다.
  • : (1)조선 시대에, 중국 청나라에 가는 사신이 여비로 쓰기 위하여 가져갈 수 있도록 허용한 인삼 여덟 꾸러미. 가져간 인삼을 중국 돈으로 바꾸어 썼는데, 숙종 때부터는 그 값에 해당하는 은을 대신 가져갔다.
  • : (1)천태종에서, 화의 사교와 화법 사교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자유형’의 북한어.
  • : (1)사방(四方)과 사우(四隅)의 여덟 방위. 동, 서, 남, 북, 동북, 동남, 서북, 서남을 이른다.
  • : (1)여덟 개의 모. (2)여러 방면. 또는 여러 측면. (3)친어머니 이외에 복제(服制)의 구별이 있는 여덟 어머니. 적모(嫡母), 계모(繼母), 양모(養母), 자모(慈母), 가모(嫁母), 출모(出母), 서모(庶母), 유모(乳母)를 이른다.
  • : (1)팔뚝의 힘.
  • : (1)여덟 번 꺾은 것이라는 뜻으로, 전지(全紙)를 세 번 접어서 여덟 장으로 나눔을 이르는 말. (2)한 해 동안에 있는 이십사절기 가운데 여덟 절기(節氣). 입춘, 춘분, 입하, 하지, 입추, 추분, 입동, 동지를 이른다. (3)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가 도를 닦는 데에 중요한 여덟 가지를 설명한 글. 한시 형태의 여덟 구절로 된 글이다. 여덟 가지는 사물을 밝게 아는 길, 덕을 아는 길, 생명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를 아는 길, 도를 깨닫는 길, 지극한 정성을 아는 길, 공경을 하는 방법, 두려움을 멀리하는 길, 참다운 마음을 가지는 길로, 자기 성찰과 수행을 통하여 참다운 인간이 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 : (1)팔과 손이 잇닿는 팔의 끝부분. (2)수투(數鬪) 놀이를 하는 도구. 또는 그것으로 하는 놀이. 사람, 물고기, 새, 꿩, 노루, 별, 말, 토끼 따위를 그린 80장의 투전을 이른다. (3)고려 시대에, 목사가 다스리던 여덟 곳의 지방 행정 구역. 현종 9년(1018)에 둔 것으로, 광주ㆍ충주ㆍ청주ㆍ진주ㆍ상주ㆍ전주ㆍ나주ㆍ황주를 이른다.
  • : (1)팔목에 끼는, 금ㆍ은ㆍ옥ㆍ백금ㆍ구리 따위로 만든 고리 모양의 장식품. (2)범죄자들의 은어로, ‘수갑’을 이르는 말. (3)활을 쏠 때에 왼팔 소매를 걷어 매는 띠.
  • : (1)‘너울’의 방언
  • : (1)사방(四方)과 사우(四隅)의 여덟 방위. 동, 서, 남, 북, 동북, 동남, 서북, 서남을 이른다. (2)여러 방향. 또는 여러 방면. (3)건(乾), 감(坎), 간(艮), 진(震), 손(巽), 이(離), 곤(坤), 태(兌)의 여덟 방향.
  • : (1)‘팔푼이’의 방언
  • : (1)‘팔푼이’의 방언
  • : (1)전화나 휴대 전화 따위로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고 연락을 주고받으며 사귀는 벗. 또는 그렇게 벗을 사귀는 일.
  • : (1)중국 진나라 때에 쓰던 여덟 가지의 서체. 대전(大篆), 소전(小篆), 각부(刻符), 충서(蟲書), 모인(摹印), 서서(署書), 수서(殳書), 예서(隷書)이다.
  • : (1)왼쪽 팔.
  • : (1)십체의 하나. 예서(隸書) 이분(二分)과 전서(篆書) 팔분(八分)을 섞어서 장식적인 효과를 낸 서체로, 중국 한(漢)나라 채옹이 만들었다고 한다.
  • : (1)‘팔꿈치’의 방언
  • : (1)‘팔자’의 옛말.
  • : (1)사람 얼굴 생김새의 여덟 가지 모양. 위(威), 후(厚), 청(淸), 고(古), 고(孤), 박(薄), 자(慈), 속(俗)이 있다. (2)부처가 중생을 제도하려고 이 세상에 나타내 보인 여덟 가지 상(相). 대승 불교에서는 종도솔천퇴상(從兜率天退相)ㆍ입태상(入胎相)ㆍ주태상(住胎相)ㆍ출태상(出胎相)ㆍ출가상(出家相)ㆍ성도상(成道相)ㆍ전법륜상(轉法輪相)ㆍ입열반상(入涅槃相)을 이르고, 소승 불교에서는 종도솔천하상(從兜率天下相)ㆍ탁태상(託胎相)ㆍ출생상(出生相)ㆍ출가상ㆍ항마상(降魔相)ㆍ성도상ㆍ전법륜상ㆍ입열반상을 이른다. (3)팔괘의 상(象). 건(乾)은 하늘(天)에, 곤(坤)은 땅(地)에, 감(坎)은 물(水)에, 이(離)는 불(火)에, 간(艮)은 산(山)에, 태(兌)는 못(澤)에, 손(巽)은 바람(風)에, 진(震)은 천둥(雷)에 해당한다.
  • : (1)적은 양의 물이나 기름 따위가 용솟음치며 몹시 끓는 모양. (2)몸이나 온돌방이 높은 열로 매우 뜨거운 모양. (3)작은 것이 힘차게 날거나 뛰는 모양. (4)먼지나 눈, 가루 따위가 바람에 힘 있게 날리는 모양. (5)불길이 좀 작게 일어나는 모양. (6)잔뜩 약이 올라 참지 못하고 어쩔 줄 모르는 모양. (7)‘팔팔하다’의 어근.
  • : (1)‘팔월’의 방언
  • : (1)히말라야산맥에 있는 공화국. 입헌 군주제를 시행해 오다가 2008년 5월에 공화제로 전화되었고, ‘네팔 연방 민주 공화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산간 지역에서는 임업과 목축업이 활발하고 낮은 계곡에서는 곡류, 황마, 약초 따위가 난다. 주민은 주로 구르카족이며, 힌두교와 불교를 믿는다. 주요 언어는 네팔어이다. 수도는 카트만두, 면적은 14만 798㎢.
  • : (1)팔의 바깥쪽.
  • : (1)여러 방면. 또는 여러 측면. (2)여덟 개의 평면.
  • : (1)‘밥알’의 방언
  • : (1)고려 시대에 중앙에 둔, 이군(二軍)과 육위(六衛)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석가모니가 불도를 이루던 날. 기원전 648년 음력 12월 8일을 이른다.
  • : (1)여덟 개의 각. (2)붓순나뭇과의 상록 활엽 소교목. 높이는 3~5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에 윤기가 있고 특이한 향기가 난다. 3~4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꽃줄기가 나와 녹색을 띤 노르스름한 꽃이 피는데 꽃잎이 가늘고 길어서 꽃받침과의 구별이 정확하지 않다.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로 8~12개가 사슬 모양으로 열리어 9월에 익으며 독이 있다. 나무 껍질과 열매는 향료용으로 쓴다. 산기슭의 따뜻하고 습한 땅에 저절로 나는데 한국의 진도ㆍ완도ㆍ제주도,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중국 전설에 나오는 고양씨(高陽氏)의 여덟 재자(才子). 창서(蒼舒), 퇴개(隤敱), 도연(檮戭), 대림(大臨), 방강(尨降), 정견(庭堅), 중용(仲容), 숙달(叔達)을 이른다.
  • : (1)‘팔뚝’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똑’으로도 적는다.
  • : (1)십의 여덟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여든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여든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 (1)작고 단단한 돌 따위를 손에 쥐고, 팔을 힘껏 흔들어서 멀리 내던짐. 또는 그런 물건.
  • : (1)팔의 위아래 마디가 붙은 관절의 바깥쪽. ⇒규범 표기는 ‘팔꿈치’이다. (2)‘팔꿈치’의 북한어.
  • : (1)‘팔’의 방언
  • : (1)‘긴팔’의 방언
  • : (1)‘마고자’의 방언
  • : (1)‘팔초하다’의 어근. (2)한약에서 쓰는 여덟 가지 약초. 창포(菖蒲), 애엽(艾葉), 차전(車前), 하엽(荷葉), 창이(蒼耳), 인동(忍冬), 마편(馬鞭), 번루(蘩蔞)이다.
  • : (1)조선 시대에, 노비이거나 신분은 양인이지만 천역에 종사하던 여덟 천민. 사노비, 중, 백정, 무당, 광대, 상여꾼, 기생, 공장(工匠)을 이른다.
  • : (1)우리나라 전체를 이르는 말. (2)조선 시대에, 전국을 여덟 개로 나눈 행정 구역.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를 이른다.
  • : (1)서예에서, 예서(隷書)와 팔분(八分)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어깨쇠’의 북한어.
  • : (1)칠조 중 여섯 번째 가락. 평조와 계면조에서 청황종을 으뜸음으로 한다.
  • : (1)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2)1년의 12개월, 24기(氣), 72후(候)를 합하여 이르는 말.
  • : (1)앵무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중국 당나라 때에, 형벌을 덜어 주던 여덟 가지 조건. 의친(議親), 의고(議故), 의현(議賢), 의능(議能), 의공(議功), 의귀(議貴), 의근(議勤), 의빈(議賓)을 이른다.
  • : (1)음력 팔월 초하룻날. 이날 농가에서는 그해 햇곡식을 처음으로 벤다.
  • : (1)땅ㆍ물ㆍ불ㆍ바람의 네 가지 큰 요소와 빛ㆍ냄새ㆍ맛ㆍ느낌의 네 가지 작은 요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 (2)모든 법을 나눈 여덟 가지. 교(敎), 이(理), 지(智), 단(斷), 행(行), 위(位), 인(因), 과(果)를 이른다. (3)병을 치료하는 여덟 가지 방법. 한법(汗法), 토법(吐法), 하법(下法), 화법(和法), 온법(溫法), 청법(淸法), 소법(消法), 보법(補法)이 있다.
  • : (1)그 수량이 여덟이나 아홉임을 나타내는 말. (2)‘십상팔구’의 북한어. (3)여덟 방위의 구역이라는 뜻으로, 온 천하를 이르는 말.
  • : (1)팔목에 끼는, 금ㆍ은ㆍ옥ㆍ백금ㆍ구리 따위로 만든 고리 모양의 장식품.
  • : (1)팔과 손을 이루는 뼈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호텔에서, 스위트 침대에 붙어 있는 응접실을 이르는 말.
  • : (1)양쪽의 두 팔.
  • : (1)마태복음 5장 3절 이하에 있는 예수의 산상 설교 속의 말. 곧 심령이 가난함, 애통함, 온유함, 의에 주리고 목마름, 긍휼히 여김, 마음이 청결함, 화평케 함,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음의 여덟 가지로, 이런 사람은 행복하다고 하였다.
  • : (1)길이 팔방으로 통하여 있음. (2)모든 일에 모르는 것이 없이 정통함.
  • : (1)팔방(八方)의 구석.
  • : (1)매우 심한 추위로 고통받는 여덟 지옥. 알부타, 이라부타, 알찰타, 확확파, 호호파, 올발라, 발특마, 마하발특마를 이른다.
  • : (1)갑자기 가볍고 힘 있게 뛰어오르거나 날아오르는 모양. (2)문이나 뚜껑 따위를 갑작스럽게 여는 모양. (3)가볍고 경망스럽게 주저앉는 모양. (4)‘팔때기’의 방언
  • : (1)한 해 열두 달 가운데 여덟째 달.
  • : (1)여덟 방위의 멀고 너른 범위라는 뜻으로, 온 세상을 이르는 말.
  • : (1)여덟 가지의 덕.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충(忠), 신(信), 효(孝), 제(悌)를 이른다.
  • : (1)투전이나 화투 놀이 따위에서, 열 끗과 여덟 끗을 합하여 이르는 말.
  • : (1)바람에 가볍고 빠르게 나부끼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1)‘팔꿈치’의 방언
  • : (1)팔을 내흔드는 짓. (2)고대 중국의 오제(五帝)와 삼왕(三王)의 세상.
  • : (1)‘김기진’의 호. (2)함경남도 신흥군과 홍원군 사이에 있는 산. 높이는 1,681미터.
  • : (1)노의 손잡이와 맞닿은 부분.
  • : (1)선정(禪定)을 방해하는 여덟 가지 법(法). 희(喜), 우(憂), 고(苦), 낙(樂), 심(尋), 사(伺), 출식(出息), 입식(入息)이다. (2)‘팔자’의 방언
  • : (1)다른 정도가 엄청남. (2)엄청나게 다른 모양.
  • : (1)16세 무렵의 꽃다운 청춘. 또는 혈기 왕성한 젊은 시절. (2)중국 요순 때에 출사했다는 16명의 현인(賢人)인 팔원팔개를 통틀어 이르는 말. (3)많은 현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팔짱’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찜’으로도 적는다.
  • : (1)중국 진나라 때에 쓰던 여덟 가지의 서체. 대전(大篆), 소전(小篆), 각부(刻符), 충서(蟲書), 모인(摹印), 서서(署書), 수서(殳書), 예서(隷書)이다. (2)≪사기(史記)≫의 지류(志類)를 여덟 가지로 분류한 책. 예서(禮書), 악서(樂書), 율서(律書), 역서(曆書), 천관서(天官書), 봉선서(封禪書), 하거서(河渠書), 평준서(平準書)를 이른다.
  • : (1)‘아래팔’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2)‘위팔’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 : (1)두 손을 각각 다른 쪽 소매 속에 마주 넣거나, 두 팔을 마주 끼어 손을 두 겨드랑이 밑으로 각각 두는 일. (2)나란히 있는 두 사람 중 한 사람이 옆 사람의 팔에 자신의 팔을 끼는 일.
  • : (1)여덟 가지의 곡식. 벼ㆍ보리ㆍ기장ㆍ조ㆍ밀ㆍ콩ㆍ팥ㆍ깨, 또는 벼ㆍ보리ㆍ기장ㆍ피ㆍ수수ㆍ조ㆍ깨ㆍ콩을 이른다.
  • : (1)여덟 가지 한방 치료 과목. 어른, 소아, 부인, 안목(眼目), 구치(口齒), 외과, 침, 안마(按摩)를 이른다.
  • : (1)‘외팔’의 방언
  • : (1)고대의 미술 이론에서, 그림이 갖추어야 할 여덟 가지 격조를 이르던 말.
  • : (1)네 귀에서 세모의 굄돌을 걸치는 식으로 반복하여 모를 줄여 가며 올리는 돌방무덤의 천장. 고구려 고분의 천장에서 볼 수 있다.
  • : (1)팔을 움직여 추는 춤.
  • : (1)조선 태조 이성계가 가졌던 여덟 마리의 준마. 횡운골(橫雲鶻), 유린청(遊麟靑), 추풍오(追風烏), 발전자(發電赭), 용등자(龍騰紫), 응상백(凝霜白), 사자황(獅子黃), 현표(玄豹)를 이른다.
  • : (1)올로프 팔메, 스웨덴의 정치가ㆍ수상(1927~1986). ‘군축과 안전 보장 문제에 관한 독립 위원회’의 위원장을 지내면서 군축 실현을 위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다가 반대파에게 암살당하였다.
  • : (1)값을 받고 물건이나 권리 따위를 남에게 넘기거나 노력 따위를 제공하다. (2)사람을 돈을 받고 물건처럼 거래하다. (3)주의를 집중하여야 할 곳에 두지 아니하고 다른 데로 돌리다. (4)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무엇을 끌어다가 핑계를 대다. (5)옳지 아니한 이득을 얻으려고 양심이나 지조 따위를 저버리다. (6)돈을 주고 곡식을 사다. (7)‘시집보내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다’로도 적는다.
  • : (1)‘팔짓’의 북한어. (2)여든 살을 이르는 말.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9개) : 파, 팍, 팎, 판, 팔, 팝, 팟, 팡, 팣, 팤, 팥, 패, 팩, 팬, 팸, 팽, 퍄, 퍅, 퍼, 퍽, 펀, 펄, 펌, 펏, 펑, 펕, 페, 펙, 펜, 펨, 펭, 편, 폄, 평, 폐, 포, 폭, 폰, 폴, 폼, 폽, 폿, 퐁, 퐃, 퐄, 퐅, 푀, 푄, 표, 푱, 푸, 푹, 푼, 풀, 품, 풋, 풍, 퓸, 퓽, 프, 플, 픤, 피, 픽, 핀, 필, 핌, 핍, 핑

실전 끝말 잇기

팔로 시작하는 단어 (1,120개) : 팔, 팔가, 팔가락지, 팔 가로누워 꺾기, 팔가문, 팔가정화, 팔가짐, 팔가치, 팔각, 팔각 경기장, 팔각고임천정, 팔각기둥, 팔각낭, 팔각 다층탑, 팔각당, 팔각도, 팔각모, 팔각문, 팔각뿔, 팔각뿔대, 팔각뿔의 절두체, 팔각시, 팔각시계, 팔각 원당형, 팔각 원당형 부도, 팔각전, 팔각정, 팔각주, 팔각줄고기, 팔각지둥 ...
팔로 시작하는 단어는 1,120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팔을 포함하는 두 글자 단어는 17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